메모리(2)
-
[OS] 7-2. Memory Management
해당 블로그 포스팅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 1. OS 상주 영역 Interrupt vector 2,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의 할당 방법 1. Contiguous allocation 각각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연속적인 공간에 적재 1) 고정분할 방식 물리적 메모리를 몇 개의 영구적 분할로 나눔 (크기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 분할당 하나의 프로그램 적재 동시에 메모리 load되는 프로그램의 수가 고정 최대 수행 가능 프로그램 크기 제한 내부조각 발생 2) 가변분할 방식 프로그램의 크기를 고려해서 할당 분할의 크기, 개수가 동적으로 변함 기술적 관리 기법 필요 외부조각 발생 Dynamic S..
2019.07.07 -
[OS] 7-1. Memory Management
해당 블로그 포스팅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ogical vs Physical address Logical address (= virtual address)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 CPU가 보는 주소는 logical address Physical address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 Symbolic address 변수명, 함수명 주소 바인딩 주소를 결정하는 것 Symbolic address -> Logical address -> Physical address 1. Compile time binding 시작 위치 변경시 재컴파일 컴파일 시점에 물리적인 주소가 결정되어야 하기에, 컴파일러는 절대 코드 생성 빈 공간 활용..
2019.07.06